해외선물뉴스

글로벌투자컨설팅

해외선물 뉴스

글로벌투자컨설팅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전 주요 국제금융뉴스] (12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글로벌투자마케팅
댓글 0건 조회 33회 작성일 24-12-12 21:00

본문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트럼프, 인플레 해법 있나…주택 공급이 핵심
- 미국의 11월 물가 지표에서 주거비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하면서 주택 비용 안정화가 향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인플레이션 해법에 필수 요건이 됐다. 11일(현지시간)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2.7% 오르며 시장 예상에 부합했다. 변동성이 큰 식음료와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대비 3.3% 상승했다. 그러나 주거비가 전년 대비 4.7% 상승하며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주택 가격은 물가 상승의 40%를 차지하며 식료품 가격을 넘어서는 인플레이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택 시장은 연방 정부의 영향력이 제한적인 분야다. 임대료 상승은 점진적으로 둔화하고 있지만,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 전국 평균 월세는 10월 기준 2천9달러로 전년 대비 3.3% 상승했다. 지난 4년 동안 임대료는 약 30% 올랐고, 주택 공급량은 5년 전보다 약 17% 감소했다. 브라이트 MLS의 리사 스터티번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임대료 상승 둔화가 예상되지만,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5975
▲S&P500, 올해 목표 도달하며 사상 최고…2025년 랠리 조건은
- 미국 증시 주요 벤치마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가 지난 금요일 6,100선에 근접하며 사상 최고치에 도달한 가운데 이는 올해 초 설정된 장기 목표치에 거의 정확히 부합했다. 내년에도 미국 증시 랠리가 이어질지 시장의 관심이 커진 가운데 기술 분석가들은 지속적인 강세를 위해서는 몇 가지 요인이 충족돼야 한다고 전한다. 11일(현지시간) 캡테시스의 프랭크 카펠레리는 모든 기술적 돌파는 상승세가 이어질 때까지는 잠정적이라며 상승 추세가 지속되려면 ▲지지선 유지 ▲상승세 추종 ▲높아지는 저점 ▲강세 패턴 형성 ▲새로운 고점 돌파 ▲상향 목표 달성의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강세 패턴을 형성하며 새로운 고점 돌파와 상향 목표 달성의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2022년 10월 이후 S&P500은 이러한 단계를 충실히 따라오며 상승 패턴을 이어왔다"고 강조했다. 특히 강세장에서의 패턴 돌파가 중요하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5995
▲AI가 예측한 BOJ 금리 인상 타이밍은…'1월' 주목
- 12월과 1월 중 일본은행(BOJ)의 다음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올해 두 차례 금리를 인상한 BOJ는 여전히 일본 경제의 회복 가능성과 글로벌 경제 환경을 면밀히 주시하며 여전히 신중한 접근 방식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12일 연합인포맥스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4o와 클로드 3.5 소넷을 활용해 BOJ의 다음 금리 인상 시점을 추정해본 결과 두 모델 모두 내년 1월 금리 인상 확률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분석에는 BOJ의 최근 금융정책 결정회의 의사록과 소비자물가지수(CPI), 국내총생산(GDP), 국채금리 및 환율 등의 자료와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 및 BOJ 위원들의 최근 발언이 종합적으로 고려됐다. 챗 GPT는 올해 12월 BOJ의 금리 인상 확률을 40~50%로, 1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60~70%로 예측했다. 클로드는 12월 금리 인상 확률을 36% 수준, 1월 금리 인상 확률을 50% 내외로 전망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6014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