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약세, 스위스 프랑이 더 부추겨…"BOJ 금리 인상 후퇴 신호"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해외 헤지펀드 등 투기 세력 사이에서 확실시됐던 일본은행(BOJ)의 12월 금리 인상 전망이 후퇴하자 엔화에는 '실망 매물'이 쏟아졌다.
스위스 50프랑[촬영 이상학]
특히 스위스프랑(CHF) 강세가 엔화 약세를 더 부추겼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2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칼럼을 통해 "BOJ에 대한 투기 세력의 '실망'을 상징하는 것이 스위스프랑 대비 엔화 약세"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스위스 프랑은 엔화와 함께 이자율이 낮은 통화로 높은 유동성에 따라 캐리 트레이드에 많이 활용되는 통화다.
달러-엔 환율은 전일 BOJ의 통화 정책을 둘러싼 보도로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한 때 152.85엔까지 오르며 2주 만에 최고치로 올라서기도 했다.
일부 외신에서 "BOJ는 소비자물가 상승에 가속도가 붙지 않고 해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추가 금리 인상을 서두를 상황이 아니라는 인식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미중 마찰 심화에 대한 경계로 강했던 엔화 매수세는 해당 보도 후 반전되면서 엔화는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한 아시아계 헤지펀드 매니저는 "일본 경제는 BOJ가 금리 인상의 조건으로 반복해서 강조했던 물가와 임금의 '선순환'이 이미 일어나고 있다고 믿어왔다"며 "BOJ의 인식은 다른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특히 스위스프랑이 엔화 대비 큰 폭으로 강세를 나타내며 투기 세력의 엔화 실망 매물을 반영했다.